土由流(토유류)
藏劒右挾正立(장검우협정립)右手右脚(우수우각)左一打(좌일타)
장검우협정립: 갑과 을 서로 우측어깨에 검을 감추고 바로 선다.
우수우각좌일타: 서로 오른손, 오른다리고 상대의 좌측을 공격한다.
(갑을이 좌일타로 상접을 이룬다.)
[上接(상접)]
仍(잉)擧左足(거좌족)藏劒右挾(장검우협)
을(좌준 좌슬): 을이 웅크려 앉으며 갑의 왼발(무릎)을 공격한다.
갑(거좌족장검우협): 갑은 을의 공격을 받아 왼발을 들며 검으로 을의 검을 쳐낸다. 이어서 을의 왼무릎을 공격한다.
[下接(하접)一(일)坐蹲(좌준)左膝(좌슬) 一(일)翹左足(교좌족)於(어)右膝(우슬)
--蹲(준)(웅크릴 준), 翹(교)(날개 교, 들 교)]
右手左脚(우수좌각)左一打(좌일타)進左(진좌)藏劒右脚(장검우각)
갑(우수좌각좌일타): 갑은 아까와 달리 다리를 달리 하여 오른손과 왼다리로 을의 좌측을 공격한다.
을(우수우각좌일타): 을은 아마도 아까와 같이 오른손과 오른다리로 갑의 좌측을 공격할 것 이다.
[上接(상접)]
갑(진좌장검우각): 갑은 이어서 칼을 오른다리 근처까지 내리며 찔러 나간다.
을(고거): 이때 을은 갑의 칼을 칼을 높게 들며 피하고는 들었던 칼로 그대로 내려 친다.
[一(일)高擧(고거)一(일)坐刺(좌자)]
右手右脚(우수우각)戴劒(대검)前一打(전일타)
갑(우수우각대검전일타): 이때 갑은 오른손오른다리로 머리위로 검을 대어서 을의 칼을 막 고 바로 앞을 향해 한번 친다.
擧右脚(거우각)左藏(좌장)右手右脚(우수우각)推右(추우)
갑(거우각좌장우수우각추우)
右手左脚(우수좌각)前一打(전일타)藏劒正立(장검정립)
右手右脚(우수우각)左一打(좌일타)進坐(진좌)藏劒右脚(장검우각)
右手右脚(우수우각)右一推(우일추)右手左脚(우수좌각)左藏(좌장)
又(우)右手右脚(우수우각)右一推(우일추)又(우)右手左脚(우수좌각)右藏(우장)
右手右脚(우수우각)左一打(좌일타)右手左脚(우수좌각)前一打(전일타)
藏劒正立(장검정립)右手右脚(우수우각)伸跳一打(신도일타)
縮跳一打(축도일타)又(우)伸跳一打(신도일타)
右手右脚(우수우각)戴劒(대검)右手左脚(우수좌각)前一打(전일타)
右手右脚(우수우각)再扣(재구)
右手右脚(우수우각)戴劒(대검)右手左脚(우수좌각)前一打(전일타)
'무예24기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수도 총보 (6) | 2018.03.21 |
---|---|
무예도보 통지 권법 (4) | 2018.03.14 |
무예도보 통지 협도보 (0) | 2010.12.09 |
마상쌍검 (10) | 2010.10.12 |
기창 본문해석 (10) | 201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