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예 이야기

조선시대 후기의 군사들의 복장은


임진왜란이후 조선의 군사중 직업군인이 입던 복장은 구군복이다. 구군복의 뜻은 옞날 군복이라는 이름이 아니라 옷을 갖추어 입는 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야후 사전에서 퍼옴

조선시대에 무신들이 갖추어 입던 전투복차림. 구기복(具器服)이라고도 한다. 갑주(甲胄;갑옷과 투구)의 속옷으로 무신의 대례복이었다. 전립(戰笠)·이엄(耳掩)·협수(狹袖;동달이)·전복(戰服)·전대(戰帶)·목화(木靴)로 구성되었고, 여기에 병부(兵符)를 차고 동개[筒兒(통아)]·환도·등채[藤鞭(등편)] 등을 갖췄다. 이러한 구군복은 무신 최고의 복식차림으로 왕의 행차 때에는 대신 이하 시위(侍衛)하던 모든 신하들이 갖추어 입었다. (애후 백과사전)

전립은  위그림에서 무관이 쓰는 모자를 말하고  동달이라고 불리는 것은 흰색 끈을 말하며 전대는 가슴에 대는 끈을 말하고 목화는 신발을 말한다.  등체는 무관이 손에 들고 있는 것을 말한다. 동개와 환도는  말위에서 쏘는 활을 동개궁과 조선시대 대표적인 칼을 환도라고하는데 환도는 허리에 찼다고 보면된다.

                                         두석린 갑주  최형국 사범님 카페에서 퍼옴

                                   구군복에  환도를 찬 모습

위에 사진 두장을 비교해보면 환도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알수 있다.  조선시대의 칼들을 보면 크기가 각각 다 다르다 .

                                                     신풍루에서의  내모습

구근복의 모습은 안보이지만 동개궁과 동개시 편전은 아직 구비를 하지 못했다. 어피로된 환도  그리고 두석린 갑을 착용한 모습이다. 화살을 넣는것을 시복이라 하는데 시복의 형태는 완전하게 복원되지 못했다. 

맨위에 나오는 나이드시 무관처럼 나이에 구에 받지 않고 무예를 정진 하고 싶다. 열심이 노력해야 할듯....